Center of the world 테러방지법

공공이익 공공안전 감염병예방법 정신건강복지법 자살예방법 건강정보 금융정보 생각사상신념 무관용의원칙 비공개물리적저지 비공식범죄예방 조직적 경찰스토킹

범죄예방프로그램시스템/민관군경 국정원 시민단체 공동체협력

경찰 공동체 협업 협력 협약 - 민관군경 국정원 시민단체

choijianQQ 2025. 2. 7. 00:37

 

아래 사진은 일부분이며 전국적 규모는 짐작이 가실겁니다.

#실시간 연계가됩니다

 


그동안의 경찰은 예전의 방식인 범죄가 일어난 후의 형사사적 경찰 활동들을 하였다면. 2000년대 이후 부터는 범죄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안전을 해치는 위해 요소들 까지도 미리 예방하려는 정책으로. 사람 뿐만이 아니라 쓰레기무단투기 무질서 소란 층간소음항의등 112신고건수(세밀한 추가설명이 필요함) 건물 환경 교통 기후 지리 인구학적 생물학적 정신적 건강 등 방대한 데이터, 빅데이터에 신경을 쓰게 됩니다.

 

이러한 방대한 자료들은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과 공공이익 안전사회 건강사회에 대한 세계적인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사전 대책인 ‘범죄가 일어나기 이전으로 돌리기’ 위한 선제적 대응 방식을 중요하게 여기며

 

경찰은 실질적인 저지 및 치료라는 지역사회 치안활동 범위를 안전사회에 걸맞게 넓히게 되는데 무질서 다툼 소란 층간소음항의등 생활안전 까지도 범위를 늘려 확대 하였기에 과거와는 다르게 평범한 일반인들 까지도 타깃으로 삼아 대거 활동을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확대되기 까지의 여러 이유 중에서 안전사회 건강사회에 대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도 있었겠지만 이런 요구만으로는 불가능한 일이 됩니다. 가장 유력한 이유 중 하나는 첨단과학 기술이 뒷받침 되었기에 타이틀을 내걸 수가 있는 것이지요.

 

첨단과학 기술의 지원과 함께 타 유관기관들을 통해 필요한 자원을 지원 받고 전국의 크고 작은 여러 단체 비영리 단체들과 협력 관계로 인력 지원이 받고 경찰과 함께 지자체 지역에서 직접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 지역주민들을 치안협력체로 조직을 구성하였습니다.

 

당연히 범죄예방 활동을 효과적으로 실시 하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머물지 않고 전국적으로 민간인을 통한 세력을. 즉 경찰 공동체가 완성이 됩니다.

 

전국적인 공유와 연계로 즉각적인 감시와 통제 저지가 가능해지고 이것이 바로 첨단 과학 기술과 타 기관의 협력과 전국의 단체들과 지역사회 민간조직들의 긴밀하고 촘촘한 사회 안전망이며 선제적 대응 체계가 바로 범죄예방 시스템입니다.

 

수많은 민간협력 공동체 지역사회 치안협력인들은 의심스러운 행동을 발견하면 촬영을 하고 신고하도록 되어있고, 이것을 기반으로 112누적신고 횟수로 잠재적 위험도를 진단하고 예측하고 선제적 대응 방식의 범죄예방 활동들이 전개가 됩니다.

 

공동체 협력 기관과 단체들 지역사회 민간 단체들에 대한 자세한 기사는 이 카페 카테고리에서 확인하시면 되는데요 . 다시 말하지만 공개적인 활동들과 비공식 활동들이 있으니 카테고리의 내용들은 매스컴에 공개된 내용들입니다. 그것을 염두 하고 보시면 되겠네요

 

추후 수정할것 기관의 협업 기사가 있었고 그 기사를 찾는중..

지역활동하는 기사도 있음 건ㅇㅇㅇ 있었고.. 살자 ㅇㅇㅇ 있었고..

경찰이 이혼녀들의 개인정를 수집하는 기사도 있었고..

 

 

이섹션은 제목과 걸맞게 첨단과학기술 보다는 비공식 민간인 활동을 위주로,예를 들면 신고를 통해서 위험군 선별 또는 신고를 빙자한 동향파악 스마프폰 촬영에 대해서

 

추후 수정.. 지금은 섹션정리 sns정리